반응형
안녕하세요, 지난 2월부터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. 신청방법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더 늦기 전에 신청하세요!
기본형 공익직불금이란?
기본형 공익직불금은 농업과 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증진하고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해 정부가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 특히 올해는 기본형 면적 직불금 지급 단가가 5% 인상되어 작년보다 더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
지원받기 위해서는 농지 요건과 농업인 요건 두 가지를 충족해야 합니다.
1. 농지 요건
- 1998년~2000년 동안 논농업에 이용된 농지
- 2003년~2005년 동안 조건 불리 지역에서 농업에 이용된 농지
2. 농업인 요건
-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사람
- 농업 외 종합소득이 3,700만 원 미만
- 최소 0.1ha 이상의 농지를 실제로 경작
지급 유형과 지원 금액
기본형 공익직불금은 소농 직불금과 면적 직불금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.
1. 소농 직불금
지원 대상
- 경작 면적이 0.1~0.5ha 이하
- 농촌 지역 거주 3년 이상, 농업 종사 3년 이상
- 농업 외 소득 2,000만 원 미만
- 축산업 소득 5,600만 원 미만, 시설 재배업 소득 3,800만 원 미만
지원 금액
- 연간 120만 원 정액 지급
2. 면적 직불금
소농 직불금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면적 직불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지원 금액 (2024년 기준, 5% 인상 적용)
- 논(진흥지역): 136만 원/ha
- 논(비진흥지역): 108만 원/ha
- 밭(진흥지역): 136만 원/ha
- 밭(비진흥지역): 81만 원/ha
신청 방법
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은 온라인 신청과 대면 신청 두 가지 방법이 있지만, 온라인 신청은 2월에 마감되었습니다.
📌 현재 신청 가능 방법: 대면 신청
- 신청 기간: 2025년 3월 4일 ~ 4월 30일
- 신청 장소: 경작 농지가 위치한 읍·면·동 사무소
- 필요 서류
- 신규 신청자, 관내 경작자, 장기 요양등급 한정자: 경작 사실 확인서
- 소농 직불금 신청자: 가족관계 증명서
문의 및 추가 정보
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농림축산식품부 콜센터(☎ 1334) 또는 읍·면·동 사무소에 문의하시면 됩니다.
오늘 기본형 공익직불금 제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,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? 농업 관련 궁금증이 있거나 작물별 재배 방법, 병해충 방제 방법, 적절한 비료 선택 등 농업 정보를 빠르게 알고 싶다면 국내 최초 농업 GPT AI 대동이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!
반응형